지나간 모든시간이 살아 있음을 ...

십성(=육친,십신), 격, 용신

정관이란?

천명선생 2025. 5. 2. 13:16

정관은 ‘바른 규칙’과 ‘공식적인 자리’를 뜻하며, 사주 명리학에서 나를 극하는 오행 중 나와 음양이 다른 존재입니다.
법, 규율, 책임감, 직위, 공적인 평가 등을 상징하며, 정직하고 성실한 삶의 자세를 나타냅니다.

 

십성 관점

  • 일간이 극을 받는 오행(나보다 강한 존재)
  • 음양이 다름 → 공정하고 질서 있는 영향력

육친 관점

  • 여자에게는 남편
  • 결혼전여자에게는 부친
  • 누구에게나 직업, 사회적 책임, 공적인 역할

 

정관이 과다할 때
사주에 정관이 많을 경우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장점

  • 책임감이 강하고 신뢰받음
  • 공정성과 도덕심이 뛰어남
  • 조직 내에서 리더십 발휘 가능

단점

  • 융통성 부족, 원칙주의 성향
  • 고지식하거나 권위적인 면이 있음
  • 자율성 부족으로 억눌림 느낌

📌 실생활 예시
공무원, 교사, 군인, 공기업, 법조인 등 공적 역할이 강한 직업
조직 내 리더, 관리자 역할 수행

📌 활용 조언
규범에 유연성을 더하고, 상황에 맞는 판단력을 기를 것

 

 

✅ 정관이 없는 경우
사주에 정관이 부족하거나 없는 경우의 특징입니다.

성향적 특징

  • 자유롭고 틀에 얽매이지 않음
  • 권위나 규칙에 반감을 가질 수 있음
  •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방식

장점과 단점

  • 독창적이고 자율성 높음
  • 하지만 규율 부족으로 신뢰받기 어려울 수 있음

📌 실생활 예시
프리랜서, 예술가, 창업가, 벤처업계 등 자유 직업
비정형적 경로로 성공하는 경우

📌 활용 조언
자율성 속에서도 기본 원칙과 책임의식을 세울 것

 

 

✅ 정관이 천간에 있을 때
천간은 겉으로 드러난 표현을 의미합니다.

특징

  • 공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드러남
  • 책임감 있는 태도가 겉으로 표현
  • 대외적 신뢰도와 직업적 평가가 좋음

주의점

  • 지나친 원칙주의는 인간관계를 딱딱하게 만들 수 있음

📌 예시
공직, 기업, 학교 등에서 리더·관리자로 인정받음

 

✅ 정관이 지지에 있을 때
지지는 내면적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특징

  • 내면에 책임감과 도덕의식이 뿌리내림
  • 겉으로는 자유로워 보여도 내면은 철저
  • 자기 절제력이 뛰어남

주의점

  • 자기 억제나 스트레스를 스스로 감내하는 경향

📌 예시
조용하지만 책임감 있는 타입, 조직 내에서 신뢰 쌓음

 

 

✅ 정관이 월지에 있을 때
월지는 직업운과 사회적 환경을 나타냅니다.
정관이 월지에 있으면, 직업적으로 안정성과 사회적 신뢰를 얻기 쉬운 구조입니다.

 

특징 요약

  • 직업적으로 책임 있는 위치에 오를 가능성
  • 조직 안에서 인정받고 승진 운 좋음
  • 사회적으로 명예를 추구함

주의점

  • 사회적 기대에 부담감을 느낄 수 있음
  • 지나친 규율 준수로 융통성 부족

📌 활용 조언
균형 잡힌 직업관과 조직 내 인간관계를 조율할 것

 

 

✅ 정관이 일지에 있을 때
일지는 배우자궁과 노후운을 의미합니다.
정관이 일지에 있다는 것은, 결혼생활이나 말년의 삶에서 안정적이고 책임 있는 환경을 추구한다는 뜻입니다.

 

특징 요약

  • 배우자가 책임감 있고 안정적일 가능성
  • 부부관계에서 질서와 신뢰 중시
  • 노후에도 규칙적이고 바른 생활을 지속

주의점

  • 배우자에게 지나친 기대나 통제를 하려 할 수 있음
  • 유연한 대인관계가 필요

📌 활용 조언
가정에서도 소통과 융통성을 키우는 것이 중요

 

 

🧾 비교 정리

 항목               천간 정관               지지 정관            월지 정관              일지 정관
작용 영역 겉으로 책임감 표현 내면의 규율 의식 직업적 안정·권위 결혼과 노후의 안정성
특징 공적인 신뢰도 높음 자기 절제, 신중함 승진운, 사회적 평가 우수 책임 있는 배우자, 안정된 삶
장점 대외 신뢰도, 리더십 내면 윤리성, 자제력 조직 내 인정, 실속형 가정에서 신뢰받음, 노후 안전
단점 융통성 부족 내면 억제, 스트레스 책임 과중 부담 배우자와의 긴장 가능성
조언 인간관계에 부드러움 필요 감정 표출 연습 기대조절과 소통 필요 유연한 태도와 신뢰 균형

'십성(=육친,십신), 격, 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인(正印)이란?  (0) 2025.05.05
편관이란?  (0) 2025.05.02
용신 취용 실천법  (6) 2025.04.29
용신 취용(取用)  (4) 2025.04.29
용신이란 무엇인가?  (4)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