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간 모든시간이 살아 있음을 ...

사주명리 35

양인합살(羊刃合殺)

1. 양인합살이란?**양인합살(羊刃合殺)**이란사주팔자에서 **양인(羊刃)**과 **칠살(七殺)**이 **합(合)**하는 경우를 말합니다.양인은 비견의 극단, 즉 극단적인 자존심, 용기, 추진력, 충동성을 뜻하며칠살은 외부 압박, 공격, 도전, 경쟁을 상징합니다.이 둘이 합하는 경우,극단적 힘과 통제되지 않는 기세가 뒤섞이는 매우 강력한 구조가 됩니다.권력이나 지휘를 추구하는 군,검,경에 유리합니다.흉신을 길함으로 전화하는 구조로 편관과 양인의 세력의 균형이 매우 중요합니다(균형깨지면 흉)📌 한 마디로 말하면, **“칼에 칼이 합해진다”**는 격.그 파괴력은 대단하되, 방향성과 제어력이 없다면 흉으로 흐르기 쉬운 형국입니다.2. 양인과 칠살의 기본 성질 비교 항목 양인(羊刃) 칠살(七殺) 기질강한..

사주명리 2025.07.09

식신제살(食神制殺)

1. 식신제살이란?**식신제살(食神制殺)**이란사주팔자에서 **식신(食神)**의 기운이 **칠살(七殺)**의 강하고 급한 기운을 **제어(制)**할 때 쓰는 고전적인 명리학 용어입니다.📌 핵심 개념식신은 내가 낳은 기운 → 생명력, 창조력, 평화의 상징칠살은 나를 극하는 기운 → 압력, 공격, 위협, 통제이처럼 내 몸에서 나간 부드러운 기운(식신)이외부의 공격성(칠살)을 통제하거나 누를 때,그 사주는 유순하면서도 강한 역량을 지니게 됩니다.2. 구성 원리 – 식신과 살의 관계식신(食神)생명, 창조, 생산, 표현력, 평온, 관용성칠살(七殺)도전, 공격, 압박, 외부 규제, 경쟁식신제살내가 낳은 기운(식신)이 나를 극하는 기운(살)을 통제함 🔎 쉽게 말해,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는 원리와 같습니다.이는..

사주명리 2025.07.08

상관합살(傷官合殺)

– 상관과 칠살의 묘한 만남, 독인가 약인가?1. 상관합살이란?**상관합살(傷官合殺)**은 사주팔자에서 **상관(傷官)**이 **칠살(七殺)**과 **합(合)**하는 형국을 의미합니다.‘상관’은 관살을 극하는 기운이고‘칠살’은 강하고 직선적인 외부의 압력입니다.그런데 이 둘이 합하여 일시적인 화해 또는 전환이 일어나면,극과 극이 만나 의외의 생산성 또는 돌파력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극 중의 생(生)’을 찾는 중요한 관점으로,단순히 좋다 나쁘다보다 맥락 중심의 통변이 핵심입니다.2. 구성 원리 – 상관과 살의 관계상관(傷官)식신 다음의 기운, 나의 개성과 표현, 반항성, 창의성칠살(七殺)편관, 외부의 압박, 권위, 도전, 위협 요소상관합살상관이 살을 극하지 않고 오히려 살과 합할 때 생기는 특수한 통..

사주명리 2025.07.07

[문창귀인 집중 분석] – 지혜와 문재(文才)의 별

사주명리학에서 **문창귀인(文昌貴人)**은 지혜, 문장력, 학문적 재능, 예술 감각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길신(吉神)**입니다. 특히 지식·예술·교육·언론·문필 등의 분야에서 탁월한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들의 사주에서 자주 발견되며, 학문과 창의력, 감성 표현을 이해할 때 매우 중요한 신살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창귀인의 기본 개념, 작용 원리, 성격적 특징, 직업/재능과의 연관성, 그리고 실전 해석 포인트까지 집중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1. 문창귀인이란?**문창귀인(文昌貴人)**은 “문장을 관장하는 귀한 별”이라는 뜻으로, 고대에서부터 문장가, 학자, 선비의 사주에 나타나는 신살로 여겨졌습니다.한자 뜻 풀이: 文(글) + 昌(빛날 창, 번영) + 貴人(귀인)주요 상징: 문장력, 학문적 성취, 창작 ..

사주명리 2025.06.29

길신(吉神)의 이해 – 천을귀인, 문창귀인, 관귀학관, 금여록, 천덕귀인, 천사성, 천예성 등

사주명리학에서는 사주 원국의 오행·십성과 더불어, 특정한 **길흉신살(吉凶神煞)**이 존재한다고 봅니다. 그중에서도 **길신(吉神)**은 사주에 긍정적 작용을 미치는 좋은 기운으로, 인격, 재능, 덕망, 행운 등의 요소를 상징합니다.이번 강의에서는 대표적인 길신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각각이 가진 상징적 의미를 정리하여, 실전 해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해 보았습니다.🌟 1. 신살(神煞)이란 무엇인가?‘신살(神煞)’이란, 사주 명리학에서 사주팔자의 간지 조합을 통해 특정한 성향이나 사건 가능성을 상징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보조적 개념입니다.신살에는 크게 **흉신(凶神)**과 **길신(吉神)**이 있으며, 이 강의에서는 길신을 중심으로 다룹니다.** 신살은 현대 명리학에서 절대적인 요소가 아니며, 보..

사주명리 2025.06.29

십간 체상론(十干體象論) - 천간의 본질을 체(體)와 상(象)으로 풀다

사주명리학에서 천간(天干)은 인간의 성정, 기질, 행동양식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기초이자 핵심이 됩니다. 그중 **십간 체상론(十干體象論)**은 각 천간의 **내면적 본질(體)**과 **외면적 형상(象)**을 통해 그 특성을 상징적으로 이해하는 중요한 통변 기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십간을 하나씩 살펴보며 체상론적 해석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갑목(甲木) - 곧은 나무, 삼림의 기둥體(본질): 큰 나무, 우직한 수목, 기둥象(형상): 곧게 뻗은 삼림, 장대하고 곧은 형상특징: 강직하고 의리 있으며 개척자적 성향이 강합니다. 원칙을 지키며 정면 돌파하는 힘이 있습니다.✅ 키워드: 삼림, 곧음, 원칙, 개척 2. 을목(乙木) – 유연한 풀, 덩굴식물體: 연목(軟木), 약한 나무, ..

사주명리 2025.06.27

지지합(地支合)

** 지지합이란?‘지지합(地支合)’은 12지지 간의 화합 작용을 의미합니다. 서로 특정한 궁합을 이루어 새로운 기운으로 전환되거나, 관계적 해석(인연, 협력, 연애 등)에 활용됩니다. 이는 음양의 조화, 오행의 상생을 기반으로 합니다.지지합은 크게 아래와 같이 분류됩니다:육합(六合) 삼합(三合)암합(暗合) –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속에서 은밀히 작용하는 합1. 육합(六合)육합은 총 6쌍으로, 12지지 중 서로 정해진 상대와 짝을 이룹니다. 자(子) - 축(丑)토(土)인(寅) - 해(亥)목(木)묘(卯) - 술(戌)화(火)진(辰) - 유(酉)금(金)사(巳) - 신(申)수(水)오(午) - 미(未)화(火) ✅ 특징합이 성립되면 해당 지지는 본래 성질을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작용을 나타냅니다.충이 함께 있으면 합..

사주명리 2025.06.23

천간합

천간합(天干合)은 사주명리학에서 십천간(十天干) 사이의 관계 중 하나로, 서로 끌어당기고 조화를 이루려는 성향을 가진 음양이 조화된 간(干)끼리의 만남을 말합니다. 이 천간합은 단순히 끌림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오행으로의 변화 가능성까지 내포하고 있어 통변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천간합의 기본 구조천간합은 총 5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양+음의 짝으로 구성됩니다. 천간합 쌍 기본 오행 변하는 오행 해석 방향 갑(甲) + 기(己)목 + 토토 화합, 정착을(乙) + 경(庚)목 + 금금이지적 연결병(丙) + 신(辛)화 + 금수 현실화 또는 정리정(丁) + 임(壬)화 + 수목 감성적 융합무(戊) + 계(癸)토 + 수화 사회적 합의 천간합의 조건과 성립 요건음양이 맞아야 함갑(양) + 기(음..

사주명리 2025.06.21

간여지동(干與支同)이란?

간여지동(干與支同)은 '천간과 지지가 동일한 오행의 속성을 가질 때'를 뜻합니다. 즉, 천간의 오행이 지지의 지장간과 같거나 지지 전체가 천간의 오행을 돕는 성격일 때 사용되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천간과 지지가 동일 오행(五行) 혹은 동일 기운(氣)을 지닐 때, 이를 간여지동이라 하여 해당 일주의 특성과 강한 주관성, 집중력, 고집 등을 해석의 포인트로 삼습니다.간여지동의 해석 포인트기운의 일치: 천간과 지지가 동일 오행이므로 한 가지 에너지에 집중되어 있음.강한 자기 고집: 타협보다 자신만의 방식, 생각을 중시.단순하지만 집중력 우수: 여러 가지를 병행하기보다는 한 가지에 몰입하는 유형.명확한 방향성: 생각이 정리되어 있고 결정을 쉽게 함.때로는 융통성 부족: 주변과의 조화보다 자신만의 원칙을 고수...

사주명리 2025.06.20

[기초18강] 진용신, 가용신이란? — 용신의 사용 가능 여부(공개용)

사주명리학에서 용신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앞 강의들에서 배웠습니다.하지만 용신이 있다고 해서 언제나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용신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이와 관련하여 실전 통변에서는👉 진용신(眞用神)👉 가용신(假用神)이라는 개념을 구분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1. 진용신(眞用神)의 정의진용신이란?사주에서 실제로 가장 필요하고, 사주 내 흐름과 구조에서 실제 작용이 가능한 '참된 용신'을 말합니다.단순히 오행적으로 필요한 용신이 아니라,뿌리가 있고,기세가 살아있으며,운세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진짜 실질적인 용신을 진용신이라고 합니다.진용신의 조건필요성사주의 조후, 강약, 격국 등에서 반드시 필요한 오행존재성사주 원국에 실제 존재기세성뿌리(근), 생조세력, 주변의 도움을 받음작용성현실적으..

사주명리 2025.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