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에서 '격(格)'은 사주팔자의 구조적 중심을 이루는 핵심 개념으로, 개인의 성격, 직업적 성향, 운세 등을 해석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격은 크게 '정격(正格)'과 '외격(外格)'으로 나뉘며, 이는 사주의 구성 방식과 특정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구분됩니다.
📘 정격(正格)
정격은 사주에서 월지(月支)의 지장간(藏干)을 중심으로, 일간(日干)을 제외한 연간(年干), 월간(月干), 시간(時干)에 투간된 십성(十星)을 기준으로 형성됩니다. 이는 전통적인 사주 해석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표준적인 격으로 간주됩니다.
정격의 주요 예시:
- 정인격(正印格): 월지 또는 월지의 지장간이 일간의 정인에 해당하며, 연,월,시 천간에 정인이 투간된 경우.
- 편인격(偏印格): 월지 또는 월지의 지장간이 일간의 편인에 해당하며, 연,월,시 천간에 편인이 투간된 경우.
- 정관격(正官格): 월지 또는 월지의 지장간이 일간의 정관에 해당하며, 연,월,시 천간에 정관이 투간된 경우.
- 편관격(偏官格): 월지 또는 월지의 지장간이 일간의 편관에 해당하며, 연,월,시 천간에 편관이 투간된 경우.
- 정재격(正財格): 월지 또는 월지의 지장간이 일간의 정재에 해당하며, 연,월,시 천간에 정재가 투간된 경우.
- 편재격(偏財格): 월지 또는 월지의 지장간이 일간의 편재에 해당하며, 연,월,시 천간에 편재가 투간된 경우.
- 식신격(食神格): 월지 또는 월지의 지장간이 일간의 식신에 해당하며, 연,월,시 천간에 식신이 투간된 경우.
- 상관격(傷官格): 월지 또는 월지의 지장간이 일간의 상관에 해당하며, 연,월,시 천간에 상관이 투간된 경우.
정격은 사주의 중심이 되는 월지를 기준으로 하여, 일간과의 관계를 통해 개인의 성향과 운세를 해석합니다.
**적천수에서는 정격을 8격으로 분류합니다. 즉, 일간에 해당되는 비견또는 겁제는 격으로 잡지 않습니다.
월지를 일간의 월령이라하여 태어난 환경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갑목이 인월에 태어났다면 비견격이라 하지 않고
월령을 득지 하였다고 표현합니다. 즉 자신의 계절에 태어나 힘이있다 입니다.
📙 외격(外格)
외격은 정격의 기준에서 벗어난 특수한 구조를 가진 사주를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정격의 틀에 맞지 않지만,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여 독특한 성향이나 운세를 나타내는 경우입니다.
외격의 주요 예시:
- 종격(從格): 일간이 매우 약하거나 강하여 주변의 기운에 따라가는 형태. 예: 종재격(從財格), 종관격(從官格) 등.
- 격외격(格外格): 정격이나 종격에도 속하지 않는 독특한 구조로, 특이한 운세나 성향을 나타냅니다.
- 잡격(雜格): 여러 격이 혼합되어 있어 특정한 하나의 격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
외격은 일반적인 해석에서 벗어나므로, 보다 세심한 분석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 외격(外格)의 주요 분류와 설명
1. 일행득기격(日行得氣格)
일간(日干)이 특정한 조건에서 기운을 얻어 형성되는 격으로,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 곡직격(曲直格): 목(木)의 기운이 강하게 작용하여 형성되는 격
- 염상격(炎上格): 화(火)의 기운이 강하게 작용하여 형성되는 격
- 종혁격(從革格): 금(金)의 기운이 강하게 작용하여 형성되는 격
- 윤하격(潤下格): 수(水)의 기운이 강하게 작용하여 형성되는 격
일간이 매우 약하거나 강하여 주변의 기운에 따라가는 형태로,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 종아격(從兒格): 일간이 매우 약하여 자식의 기운을 따르는 격으로, 식신격(食神格)과 상관격(傷官格)의 특성을 가집니다.
- 종재격(從財格): 일간이 매우 약하여 재성(財星)의 기운을 따르는 격으로, 재격(財格)의 특성을 가집니다.
- 종관살격(從官殺格): 일간이 매우 약하여 관성(官星)과 살성(殺星)의 기운을 따르는 격으로, 관격(官格)의 특성을 가집니다.
- 종왕격(從旺格): 일간이 매우 강하여 자신의 기운을 따르는 격으로, 비견격(比肩格)과 겁재격(劫財格)의 특성을 가집니다.
- 종강격(從强格): 일간이 매우 약하여 강한 인성 따르는 격으로, 정인격(正印格), 편인격(偏印格) 의 특성을 가집니다.
**종아격,종재격,종관살격은 인성과 비겁이 있으면 성립되지 않습니다.
3. 합화기격(合化氣格)
천간의 특정한 조합이 합하여 새로운 기운으로 변하는 격으로,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 갑기합화토격(甲己合化土格): 갑목(甲木)과 기토(己土)가 합하여 토(土)의 기운으로 변하는 격입니다.
- 을경합화금격(乙庚合化金格): 을목(乙木)과 경금(庚金)이 합하여 금(金)의 기운으로 변하는 격입니다.
- 병신합화수격(丙辛合化水格): 병화(丙火)와 신금(辛金)이 합하여 수(水)의 기운으로 변하는 격입니다.
- 정임합화목격(丁壬合化木格): 정화(丁火)와 임수(壬水)가 합하여 목(木)의 기운으로 변하는 격입니다.
- 무계합화화격(戊癸合化火格): 무토(戊土)와 계수(癸水)가 합하여 화(火)의 기운으로 변하는 격입니다.
4.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
두 가지 오행이 조화를 이루어 형성되는 격으로,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 목화양신성상격(木火兩神成象格): 목(木)과 화(火)의 기운이 조화를 이루어 형성되는 격입니다.
- 화토양신성상격(火土兩神成象格): 화(火)와 토(土)의 기운이 조화를 이루어 형성되는 격입니다.
- 토금양신성상격(土金兩神成象格): 토(土)와 금(金)의 기운이 조화를 이루어 형성되는 격입니다.
- 금수양신성상격(金水兩神成象格): 금(金)과 수(水)의 기운이 조화를 이루어 형성되는 격입니다.
- 수목양신성상격(水木兩神成象格): 수(水)와 목(木)의 기운이 조화를 이루어 형성되는 격입니다.
📚 격의 역사와 고전 문헌
사주명리학에서 격의 개념은 오랜 역사와 함께 발전해왔으며, 여러 고전 문헌에서 그 이론과 해석 방법이 다루어졌습니다.
주요 고전 문헌:
- 『삼명통회(三命通會)』: 명나라의 심효첨(沈孝瞻)이 저술한 책으로, 사주명리학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격의 분류와 해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적천수(滴天髓)』: 명나라의 유희선(劉基)이 저술한 책으로, 격의 이론뿐만 아니라 운세 해석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 『명리대전(命理大全)』: 청나라의 서대승(徐大升)이 저술한 책으로, 다양한 격의 사례와 해석 방법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전 문헌들은 격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현대 사주명리학의 해석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정리
- 정격(正格): 월지의 지장간을 기준으로, 일간을 제외한 연간, 월간, 시간에 투간된 십성을 중심으로 형성된 격.
- 외격(外格): 정격의 기준에서 벗어난 특수한 구조를 가진 사주로, 종격, 격외격, 잡격 등이 포함됩니다.
- 고전 문헌: 『삼명통회』, 『적천수』, 『명리대전』 등에서 격의 이론과 해석 방법이 체계적으로 다루어졌습니다.
격의 이해는 사주명리학에서 개인의 성향과 운세를 해석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이 가능합니다. 단, 격의 성립이 좋고 나쁨의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겠습니다.
'십성(=육친,십신), 격, 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격(雜格)의 분류 (0) | 2025.05.26 |
---|---|
십성격(十星格)의 성립과 분류(심화) (0) | 2025.05.25 |
편인격(偏印格) – 독창적 사고와 자유의 기운 (4) | 2025.05.15 |
정인격(正印格) – 보호와 지혜의 기운 (2) | 2025.05.15 |
편재격(偏財格) – 유연한 처세와 현실 감각 (6)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