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간 모든시간이 살아 있음을 ...

사주명리

[기초17강] 용신이란? 그리고 희신, 기신, 구신(공개용)

천명선생 2025. 6. 17. 11:06

사주명리학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용신(用神)**입니다. 사주를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용신을 어떻게 선택하고 활용하는지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용신과 더불어 함께 사용되는 희신(喜神), 기신(忌神), 구신(仇神) 개념도 함께 이해해야 전체적인 사주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네 가지 개념을 차례대로 살펴보겠습니다.


1. 용신(用神)의 정의

용신이란?

사주에서 조화와 균형을 맞추기 위해 가장 필요로 하는 오행 또는 십성을 말합니다.

사주는 태어난 해, 달, 날, 시의 네 기둥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오행과 음양이 서로 상생·상극 관계를 맺습니다. 이 속에서 오행의 과다나 부족, 기세의 편중 등을 조절하고 사주 전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용신입니다.

예를 들어:

  • 한겨울에 태어난 사람(수기 강한 사주)은 따뜻하게 해주는 불(火)이 용신이 될 수 있습니다.
  • 한여름에 태어난 사람(화기 과다한 사주)은 시원하게 해주는 수(水)가 용신이 될 수 있습니다.

용신을 찾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조후용신법(계절적 조화), 격국용신법(격국 성립과 보좌), 희기용신법(사주의 희기 분석) 등을 활용하여 선정합니다.

→ 용신은 사주의 중심축, 균형추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2. 희신(喜神)의 정의

희신이란?

용신 다음으로 사주에 이로움을 주는 보조적인 오행 또는 십성을 말합니다.

희신은 용신만큼 절대적인 위치는 아니지만, 사주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용신과 성질이 비슷하거나 용신을 돕는 기운이 희신이 됩니다.

용신과 상생하는 구조여야 하므로 원국의 용신을 찾으면 희신은 자연히 결정된다.

예를 들어:

  • 용신이 화(火)일 때, 목(木)은 화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희신이 될 수 있습니다.
  • 용신이 수(水)일 때, 금(金)은 수를 생조하므로 희신이 될 수 있습니다.

→ 희신은 용신을 보좌하고 힘을 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3. 기신(忌神)의 정의

기신이란? ,.

용신및 희신에 흉한작용을 하는 오행을 말합니다.

단순히 흉신이라고도 하며, 이 흉신중 일간을 도와주거나 용신인 오행을 극하면 기신이라고 합니다.

 사주가 안정되지 못하도록 균형을 깨뜨리는 원인이 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용신이 나무인데 나무를 극하는 금이 있다면 금이 기신

→ 기신은 사주의 병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4. 구신(仇神)의 정의

구신이란?

기신을 돕는 오행이거나 용신이나 희신을 방해하거나 억누르는 오행 또는 십성을 말합니다.

기신의 세력을 돕기 때문에 사주의 흐름을 나쁘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 기신이 수(水)인데  금(金)이 들어오면 구신이 됩니다.

→ 구신은 기신을 돕는다


간단 요약표

용신 사주의 조화를 잡아주는 가장 중요한 오행 중심, 균형추
희신 용신을 도와주는 보조적인 오행 보조, 후원
기신 용신을 헤하는 오행 사주의 균형을 깨뜨리는 오행 병증 악화
구신 기신을 돕는 오행. 용신·희신을 방해하는 오행 장애, 적대
 

마무리

사주명리학에서 용신을 잡는 것은 곧 사주의 해석 방향을 결정하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용신과 희신, 기신, 구신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면 사주 해석의 깊이가 훨씬 더 넓어집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용신 선정의 실제 방법과 예시를 통해 조금 더 실전적인 내용을 다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