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합(天干合)은 사주명리학에서 십천간(十天干) 사이의 관계 중 하나로, 서로 끌어당기고 조화를 이루려는 성향을 가진 음양이 조화된 간(干)끼리의 만남을 말합니다. 이 천간합은 단순히 끌림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오행으로의 변화 가능성까지 내포하고 있어 통변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천간합의 기본 구조
천간합은 총 5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양+음의 짝으로 구성됩니다.
천간합 쌍 | 기본 오행 | 변하는 오행 | 해석 방향 |
갑(甲) + 기(己) | 목 + 토 | 토 | 화합, 정착 |
을(乙) + 경(庚) | 목 + 금 | 금 | 이지적 연결 |
병(丙) + 신(辛) | 화 + 금 | 수 | 현실화 또는 정리 |
정(丁) + 임(壬) | 화 + 수 | 목 | 감성적 융합 |
무(戊) + 계(癸) | 토 + 수 | 화 | 사회적 합의 |
천간합의 조건과 성립 요건
- 음양이 맞아야 함
- 갑(양) + 기(음)처럼 양+음 조합일 때만 합으로 성립합니다.
- 거리가 가까워야 유효함
- 일간과 월간, 일간과 시간처럼 실제로 만나는 위치에서 합의 작용이 강합니다.
- 합이 깨지는 경우
- 충이 들어오면 합은 무효화되거나 약화됩니다.
- **합화(合化)**가 될 수 있는 조건
- 주변의 지지, 계절, 전체 오행 상황에 따라 다른 오행으로 변화(화합) 가능
- 예: 갑기합이 여름(화왕지절)일 경우 화로 합화됨
천간합 각 쌍별 해석
1. 갑기합(甲己合) – 토로의 화합
- 목(甲)과 토(己)의 결합으로, 화합을 통한 안정 추구
- 조직이나 가정, 정착을 추구하는 성향
- 사업/부동산과 관련된 변화의 상징
- 계절이 여름일 경우 화로 합화됨
2. 을경합(乙庚合) – 금의 이지적 합
- 을(목, 음)과 경(금, 양)의 만남 → 수 또는 금 성향으로 합화
- 지적, 분석적, 이성적 관계
- 직업적으로는 문서, 지식산업, 법률과 관계 있음
3. 병신합(丙辛合) – 수로의 현실화
- 화(병)와 금(신)이 만나 물이 되는 구조
- 아름다움과 예술, 화려한 표현 → 현실로 정리되는 것
- 이성적 관계 해석에서 ‘육체적 합’으로도 봄
4. 정임합(丁壬合) – 목의 융합적 에너지
- 정(화, 음)과 임(수, 양)의 감성적 조화
- 부드럽고 영감적인 사고, 문학·예술적 재능
- 주변이 목왕지절이면 목으로 합화됨 → 성장과 창조 의미
5. 무계합(戊癸合) – 화의 사회적 합
- 무토와 계수의 만남 → 음양이 조화되며 화로 합화되는 경우 많음
- 사회적 신뢰, 공적 관계, 계약, 약속 의미
- 일정한 틀, 책임 있는 역할이 부여됨
천간합 통변 시 주의사항
- 일간 중심으로 해석: 특히 일간이 무엇과 합을 이루는지가 중요합니다.
- 합은 곧 변화: 기존 오행이 변화할 수 있기에, 오행적 세력 변화를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 합+충의 복합 해석 필요
천간합과 인간관계 해석
- 남녀궁합에서: 천간합이 있으면 인연, 끌림을 뜻함.
- 합의 궁합이 좋다는 의미는 아니란걸 명심
- 합때문에 헤어지고 싶어도 헤어지지 못하는 악연도 있음
- 일간과 (타인)타간의 합은 심리적·정서적 유대, 끌리는 사람으로 나타남.
- 다만, 합은 구속 또는 책임을 뜻하기도 하므로 상황에 따라 해석은 달라집니다.
마무리 요약
- 천간합은 단순한 조화가 아닌 변화의 씨앗.
- 주변 환경(지지, 계절, 대운 등)에 따라 오행의 흐름과 변화를 초래함.
- **합은 좋다기보다 ‘변화의 상징’**으로 이해해야 하며, 고정적이지 않음.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간 체상론(十干體象論) - 천간의 본질을 체(體)와 상(象)으로 풀다 (2) | 2025.06.27 |
---|---|
지지합(地支合) (8) | 2025.06.23 |
간여지동(干與支同)이란? (4) | 2025.06.20 |
[기초18강] 진용신, 가용신이란? — 용신의 사용 가능 여부(공개용) (12) | 2025.06.17 |
[기초17강] 용신이란? 그리고 희신, 기신, 구신(공개용) (0)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