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지합이란?
‘지지합(地支合)’은 12지지 간의 화합 작용을 의미합니다. 서로 특정한 궁합을 이루어 새로운 기운으로 전환되거나, 관계적 해석(인연, 협력, 연애 등)에 활용됩니다. 이는 음양의 조화, 오행의 상생을 기반으로 합니다.
지지합은 크게 아래와 같이 분류됩니다:
- 육합(六合)
- 삼합(三合)
- 암합(暗合) –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속에서 은밀히 작용하는 합
1. 육합(六合)
육합은 총 6쌍으로, 12지지 중 서로 정해진 상대와 짝을 이룹니다.
자(子) - 축(丑) | 토(土) |
인(寅) - 해(亥) | 목(木) |
묘(卯) - 술(戌) | 화(火) |
진(辰) - 유(酉) | 금(金) |
사(巳) - 신(申) | 수(水) |
오(午) - 미(未) | 화(火) |
✅ 특징
- 합이 성립되면 해당 지지는 본래 성질을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작용을 나타냅니다.
- 충이 함께 있으면 합충동시로 간주하여 복합 해석이 필요하겠지만 합이 해석의 우선입니다.
- 합충동시존재시 합이 우선이니 충의 작용은 미비합니다.
2. 삼합(三合)
삼합(三合)은 세 개의 지지가 모여 새로운 오행을 형성하는 구조입니다. 이는 사주의 전체적인 기운 흐름과 성향을 판단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해(亥) - 묘(卯) - 미(未) | 해묘미 | 목(木) |
인(寅) - 오(午) - 술(戌) | 인오술 | 화(火) |
사(巳) - 유(酉) - 축(丑) | 사유축 | 금(金) |
신(申) - 자(子) - 진(辰) | 신자진 | 수(水) |
✅ 삼합 성립 조건
- 세 지지가 모두 있어야 완전한 삼합이 됩니다.
- 두 가지만 있어도 반합(半合)이라 하여 일정한 작용이 있습니다.
- 월지가 포함되면 그 작용력이 강해지며, 특히 용희신 판단에 중요합니다.
3. 암합(暗合)
암합은 표면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지만, 내부에서 밀접하게 작용하는 숨은 합입니다. 관계가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더라도 묘한 인연이나 이끌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인미, 인축, 묘신, 오해, 술자 5가지
- 寅 + 未 지장간의 甲,己합
- 寅 + 丑 지장간의 甲,己합
- 卯 + 申 지장간의 乙,庚합
- 午 + 亥 지장간의 丁,壬합
- 戌 + 子 지장간의 戊,癸합
✅ 특징
- 사주에서 명확히 드러나지 않아도 옆에 자리하고 있다면 충분히 보이지 않는 에너지로써 의미가 있습니다.
- 대운·세운에서 한번더 드러날 때 강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암합은 감정적, 심리적 작용이나 은밀한 관계를 상징할 때 쓰입니다.
** 지지합의 통변 포인트
- 합이 많으면: 유연하고 관계 중심적이나 우유부단하거나 이성 문제 주의 내 마음대로 펼치지 못함 눈치보거나 집착함
- 충과 함께 있으면: 합이 해석의 우선 충은 미비한 작용 단,합충의 자리에 따라 영향력 달라짐→ 상황과 맥락 따라 달리 해석
- 일지와의 합: 배우자 운, 결혼운과 깊은 관련, 일상생활에서의 모습
- 월지와의 합: 사회성, 활동성, 직업적 인간관계
** 마무리
지지합은 단순한 오행의 결합이 아니라 인연, 관계, 기운의 흐름을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도구입니다. 특히 육합과 삼합, 암합을 종합적으로 살피는 것이 중요하며, 합은 사주의 조화와 변화를 이해하는 핵심 열쇠가 됩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신(吉神)의 이해 – 천을귀인, 문창귀인, 관귀학관, 금여록, 천덕귀인, 천사성, 천예성 등 (8) | 2025.06.29 |
---|---|
십간 체상론(十干體象論) - 천간의 본질을 체(體)와 상(象)으로 풀다 (2) | 2025.06.27 |
천간합 (8) | 2025.06.21 |
간여지동(干與支同)이란? (4) | 2025.06.20 |
[기초18강] 진용신, 가용신이란? — 용신의 사용 가능 여부(공개용) (12)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