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간 모든시간이 살아 있음을 ...

분류 전체보기 257

12운성의미/도표, 오행별자기계절

**12운성(十二運星)**은 사주명리학에서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조합을 통해, **일간(日干)**이 월지(月支)에서 생로병사의 흐름 속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체계.쉽게 말해서,🔍 **내가 태어난 달(월지)**이 **나(일간)**에게 얼마나 힘을 주고 있는가, 어떤 상태로 돕는가를 보여주는 지표.🌌 "운성(運星)"이라는 말의 의미"성(星)"이라는 글자는 문자 그대로는 '별'을 뜻하지만,사주명리에서 쓰이는 운성은 상징적인 '기운의 별', 운명의 흐름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해.마치 우리가 사람의 인생을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듯,12운성도 인생의 한 주기를 12단계로 나눈 것.실제 우주의 별은 아니고, **인생의 주기를 표현한 '운명의 상징 별'**이라고 보면 됨.그래서..

계수(癸水)의 계절별 특성과 12운성 해석 – 맑고 섬세한 샘물의 흐름

계수는 이슬, 안개, 실개천처럼 맑고 미세하며 내면적 기질을 지닌 물의 기운입니다. 섬세함과 직관력, 감성적 깊이를 가지고 있지만 때로는 쉽게 영향받고 소극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계절 속에서 계수는 어떻게 그 색을 달리할까요?🌱 봄의 계수: 인·묘·진 – 목욕, 장생, 양🔹 인월(寅) – 목욕(沐浴)12운성: 외형적 변화, 새로운 시작을 위한 정돈궁퉁보감 해석: “癸水逢寅,洗滌塵垢,形象初現。”해석: 인목의 기운 속에서 계수는 외적으로 정돈되며 새로운 출발을 준비합니다.특징: 외모 변화, 감정 정비, 새로운 관계나 목표에 대한 준비.🔹 묘월(卯) – 장생(長生)12운성: 생기가 움트고 가능성이 발현되는 시기궁퉁보감 해석: “卯木生癸,春雨潤物。”해석: 묘목의 생명력은 계수에게 큰 활력과 생동감을 부..

임수(壬水)의 계절별 특성과 12운성 해석 – 흐름과 깊이를 가진 대양의 기운

임수는 큰 강, 바다, 폭포처럼 거대하고 유동적인 물의 기운을 지녔습니다. 자유롭고 포용적인 성향이 강하지만, 때로는 방향을 잃거나 과도한 확장으로 인해 혼란을 겪기도 합니다. 계절의 변화 속에서 임수는 어떻게 모습을 달리할까요?🌱 봄의 임수: 인·묘·진 – 병, 사, 묘🔹 인월(寅) – 병(病)12운성: 에너지가 불안정하고 약화되는 시기궁퉁보감 해석: “寅為木旺之地,壬水奔流而勞。”해석: 인목은 수의 생지가 되지만, 임수는 방향 없이 흐르며 에너지 소모가 큽니다.특징: 과도한 추진력, 감정의 기복, 균형의 필요성.🔹 묘월(卯) – 사(死)12운성: 생명의 흐름이 멈추고 전환이 필요한 시기궁퉁보감 해석: “卯木洩壬氣,水耗而衰。”해석: 묘목은 임수의 기운을 빼앗아 약화시킵니다. 정체와 침체의 시기입니다..

신금(辛金)의 계절별 특성과 12운성 해석 – 다듬어진 보석 같은 정밀함과 고결함

신금은 세공된 금속, 장신구, 귀금속, 칼날처럼 정제된 금을 상징합니다. 예민하고 섬세하면서도 단단한 기운을 지녔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균형을 중시합니다. 화려하면서도 절제된 성향의 소유자인 신금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더욱 다채로운 면모를 드러냅니다.🌱 봄의 신금: 인·묘·진 – 태, 절, 묘🔹 인월(寅) – 태(胎)12운성: 생명이 잉태되는 시작의 시기궁퉁보감 해석: “寅木尅金,辛氣雖微,含藏新生。”해석: 인목이 금을 극하지만, 신금은 그 속에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며 태동합니다.특징: 내면에서 새로운 계획을 품고 준비하는 시기, 조용하지만 방향성이 생깁니다.🔹 묘월(卯) – 절(絶)12운성: 기운이 끊기고 활동이 멈추는 시기궁퉁보감 해석: “卯為辛金之絕地,氣息微弱。”해석: 신금은 외부 기..

경금(庚金)의 계절별 특성과 12운성 해석 – 쇠붙이 속의 강인함과 절제

경금은 무기, 기계, 도구 같은 가공되지 않은 단단한 쇠를 의미합니다. 단단함, 결단력, 정직함을 바탕으로 시대를 돌파하는 기운을 지녔으며, 상황에 따라 가장 날카롭고 강인하게 빛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12운성과 궁퉁보감 해석을 바탕으로 경금의 계절별 성향을 탐색해볼게요.🌱 봄의 경금: 인·묘·진 – 절, 태, 양🔹 인월(寅) – 절(絶)12운성: 생명이 끊기고 모든 활동이 멈추는 시기궁퉁보감 해석: “寅為木地,庚金之氣斷絕。”해석: 인목은 금기를 극으로 억제합니다. 경금의 본질인 단단함이 외부 환경에 눌려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습니다.특징: 활동성 저하, 내면 고립감, 변화에 대한 준비 필요.🔹 묘월(卯) – 태(胎)12운성: 새로운 기운이 모태에서 형성되는 시기궁퉁보감 해석: “卯為金胎,雖弱而含..

기토(己土)의 계절별 특성과 12운성 해석 – 생명과 씨앗을 품은 비옥한 땅

기토는 논밭과 들판의 땅, 즉 생명을 잉태하는 비옥한 토입니다. 부드럽지만 강하고, 작지만 깊은 에너지를 품고 있죠. 감싸고, 기르고, 변화에 능한 기토는 계절별로 다양한 역할을 해냅니다. 이번 글에서는 12운성과 궁퉁보감 해석을 바탕으로,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기토의 속성을 정리해봅니다.🌱 봄의 기토: 인·묘·진 – 사, 병, 쇠🔹 인월(寅) – 사(死)12운성: 생명의 흐름이 끊기고 침묵으로 전환되는 시기궁퉁보감 해석: “寅木旺,己土被制,氣息微弱。”해석: 인목의 강한 기운이 기토를 억누르며 기운이 죽은 듯 잠잠해집니다. 외적인 움직임보다는 내면의 멈춤이 필요한 시기입니다.특징: 수동성 증가, 외부의 영향 큼, 의욕 저하, 내면 정비 필요.🔹 묘월(卯) – 병(病)12운성: 생명력이 흔들리며 재조..

무토(戊土)의 계절별 특성과 12운성 해석 – 큰 산과 같은 믿음직한 기운

무토는 크고 든든한 산(山) 같은 대지입니다. 모든 것을 품고 견디며, 묵직하고 안정된 성향을 지녔죠. 태양의 빛을 받고 만물을 기르게 하고, 비를 머금어 생명을 키우는 그릇 같은 존재입니다. 그러나 이런 무토도 계절에 따라 역할과 분위기가 달라집니다. 12운성의 흐름과 궁퉁보감 해석을 바탕으로 계절별 무토의 특성을 풀어봅니다.🌱 봄의 무토: 인·묘·진 – 장생, 목욕, 관대🔹 인월(寅) – 장생(長生)12운성: 기운이 태동하는 시작의 시기궁퉁보감 해석: “寅木發生,土雖不旺,然能載木之生。”해석: 봄의 인목은 무토에게 장생지로, 아직 땅은 냉하지만 씨앗이 움트기 시작합니다. 준비와 계획의 기운이 서서히 움트는 시기죠.특징: 기획력 상승, 인내력 발휘, 새로운 시작을 위한 준비.🔹 묘월(卯) – 목욕(..

정화(丁火)의 계절별 특성과 12운성 해석 – 은은한 등불의 힘

정화는 달빛, 촛불, 별빛과 같은 섬세하고 조용한 불의 기운입니다. 일상 생활에 활용되는 기운입니다.밝고 따뜻하지만, 병화처럼 활활 타오르기보다 은은하게 주변을 밝혀주는 존재죠. 정화의 빛은 강요하지 않고 스며들며, 타인을 위한 봉사적 에너지로 많이 발현됩니다. 하지만 이 역시 계절과 환경에 따라 힘의 방향과 모습이 달라집니다. 12운성과 궁퉁보감의 해석을 통해 계절별 정화의 모습을 살펴봅니다.🌱 봄의 정화: 인·묘·진 – 사, 병, 쇠🔹 인월(寅) – 사(死)12운성: 기운이 사라지는 듯하지만, 깊은 철학이 깃든 시기궁퉁보감 해석: “寅木雖生火,丁火不耐風木之強,死地也。”해석: 인목은 병화에게는 장생이지만, 정화에게는 사지입니다. 봄의 바람과 강한 목기가 정화의 섬세한 불을 흔들 수 있어 다소 불안정..

병화(丙火)의 계절별 특성과 12운성 해석 – 태양처럼 뜨거운 삶의 중심

병화는 뜨거운 태양을 상징하며, 생명력을 퍼뜨리고 모든 사물을 비추는 존재입니다. 정열적이고 열정적인 기질을 지니며, 자신의 신념과 가치에 따라 살아가는 리더형 인물입니다. 그러나 계절과 운의 흐름에 따라 그 빛도 변화하기 마련이죠. 이번 글에서는 병화가 **봄(寅·卯·辰), 여름(巳·午·未), 가을(申·酉·戌), 겨울(亥·子·丑)**에 위치할 때의 특징을 12운성과 궁퉁보감을 통해 심층 분석해봅니다.🌱 봄의 병화: 인·묘·진 – 장생, 목욕, 관대🔹 인월(寅) – 장생(長生)12운성: 병화의 탄생과 같이 힘차게 떠오름궁퉁보감 해석: “寅木生火,丙火之長生,日出東方。”해석: 병화가 막 떠오르는 시기입니다. 아직 완전한 태양은 아니지만, 새로운 시작과 희망이 가득한 시기입니다. 생기발랄하고 적극적인 기운..

을목(乙木)의 계절별 특성과 12운성 해석 – 유연한 꽃과 풀의 사주 이야기

을목은 곧고 굳센 갑목과는 달리, 부드럽고 유연한 덩굴이나 꽃, 풀에 비유됩니다. 하지만 작다고 얕볼 수는 없습니다. 을목은 때로는 갑목보다 더 강한 생명력과 지속성을 보이며, 환경에 따라 능숙하게 적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을목이 **봄(인·묘·진), 여름(사·오·미), 가을(신·유·술), 겨울(해·자·축)**에 위치할 때의 특징을 궁퉁보감과 12운성 해석을 통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봄의 을목: 인·묘·진 – 제왕, 건록, 관대🔹 인월(寅) – 제왕(帝旺)12운성: 을목 기운이 가장 강한 시기, 외유내강의 절정궁퉁보감 해석: “寅為乙木之帝旺,如藤蘿纏松,自能登高。”해석: 인월의 을목은 생명력이 충만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위로 솟구칩니다. 스스로 강한 줄기보다는 남을 잘 활용하여 성공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