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간 모든시간이 살아 있음을 ...

기타용어 3

등라계갑(藤蘿繫甲)

등라계갑이란? 을목일간에 갑목이 있을 때 갑목의 에너지를 이용해 하늘 높이 올라가는 모양을 말한다. 십간체상론(十干体象論) - 갑목은 삼림이요 을목은 덩굴이다.십간생사론(十干生死論) - 갑목은 死木이요 을목은 生木으로 활엽근해지목(活葉根 核之木)이다. 을목은 갑목 없이는 높은 곳에 오르지 못하고 갑목은 을목 없이는 새로운 곳에 뿌리내리기가 어렵다. 갑목과 을목은 목(木)의 오행이며 서로 함께 할 때 완벽한 하나가 된다.1. 한자 풀이藤(등나무 등): 덩굴 식물, 뻗어가는 넝쿨蘿(덩굴 라): 덩굴식물, 흔히 ‘취나물’류로 번역되며, 등과 함께 넝쿨을 상징繫(맬 계): 묶다, 매다, 연결하다甲(갑옷 갑): 갑목의 갑입니다. 2. 성립요건을목과 갑목이 사주원국에 있어야 한다.을목 바로 옆에 자리하여야 한다.운..

기타용어 2025.06.25

기토탁임(己土濁壬)이란?

기토탁임(己土濁壬)은 명리학에서 임수(壬水)가 기토(己土)와 조우하면서 그 본래의 청정함을 잃고 탁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단순한 음양 조화의 문제를 넘어, 기토와 임수가 지닌 본성의 충돌과 관련된 중요한 통변 포인트이며, 고전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개념입니다. 아래에 ‘기토탁임’에 대한 전통적 해석과 고전 인용을 포함하여 정리해드리겠습니다.단, 기토탁임은 쉽게 되지 않습니다. 기토와 임수가 있으면 되는 것이 아니니 사주 두글자만으로 해석하면 절대 안됩니다. **기토(己土)**는 여성적 음토로서, 곱고 단단하며, 논밭이나 정원과 같은 *형체 있는 토(土)*를 상징합니다. 이런 기토가 맑고 청정한 **임수(壬水)**를 만나면, 그 본래의 청수(淸水)한 특성이 탁해져서 본성을 잃는다고 해석합니다.즉, 임..

기타용어 2025.05.28

양인합살(陽刃合煞) (羊刃合殺)

✅양인합살(羊刃合殺)이란일간이 양간인 오행이 칠살의 위협이 있을때 겁제 음간오행이 칠살을 합으로 무력화 시키는 모양.자신에 해당하는 오행이 비견 겁제로 중첩되어 강해지고 이때문에 칠살또는 관성이 힘을 잃어일간의 강력해진 세력과 힘을 누르지 못하니 해당오행이두려움 없고 안하무인이 될 확률 또한 높다.강한 자존심, 대담함, 독립심, 투쟁심을 의미.사주에 따라선 폭력성, 불도저 같은 성격도 가능.자신에 해당하는 오행이 비견 겁제로 중첩되어 강해지고 이때문에 칠살또는 관성이 힘을 잃어 일간의 강력해진 세력과 힘을 누르지 못하니 해당오행이두려움 없고 안하무인이 될 확률 또한 높다.살(煞): 일반적으로 **관살(偏官, 칠살)**을 줄여서 말하며,공격적이고 외향적인 힘.관성 중에서 약간 거친 힘, 외부의 압박, 경쟁..

기타용어 2025.05.05